nocdev

스프링 MVC 프로젝트 톺아보기1 본문

개발/spring

스프링 MVC 프로젝트 톺아보기1

nocdu 2024. 10. 4. 21:53

 

스프링 MVC 프로젝트 톺아보기1

 

오늘은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이클립스)를 이용한 스프링 MVC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기본 동작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스프링 부트가 아닌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로 생성합니다.

 

개발환경

운영체제 : Windows 10
개발도구 :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3.8
언어 : Java1.8
 

 

 

프로젝트 생성하기

우선은 sts3에서 제공하는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기능을 이용해 Spring MVC project를 생성합니다.

이클립스 프로젝트 생성

좌측 Project Explorer 탭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Spriong Legacy Project 생성

 

Spring Legacy Project를 찾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Spring MVC Project 생성

 

Project name에 프로젝트에 사용할 이름을 작성하고 Spring MVC Project를 선택한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Spring MVC Project 탭이 나오지 않는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합니다.

 

이클립스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STS spring legacy project spring mvc project 생성 방법

최근 새 컴퓨터에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spring legact project를 생성하여 mvc 기반의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 하려고 했는데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해결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구글

nocdu112.tistory.com

 

 

프로젝트 패키지 명 설정

Spring Legacy Project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패키지 명을 입력해주어야합니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명 이므로 임의로 작성하여도 괜찮으나, 패키지명은 두개의 점으로 구분되는 3개의 패키지명이 필요합니다. 패키지명을 정했다면 Finish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생성을 완료합니다.

 

 

프로젝트 생성 완료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좌측의 Project Explorer 탭에 프로젝트가 보이게 될 것 입니다.

 

프로젝트 구조 살펴보기

생성된 프로젝트의 구조를 살펴보기 전에 프로젝트 폴더구조를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Perspectives탭에서 프로젝트 보기 방식을 변경하겠습니다.

 

Perspectives 변경

Perspectives는 프로젝트 view 들을 모아둔 레이아웃입니다. 프로젝트 별로 보아야하는 레이아웃의 종류와 특성이 틀리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view를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javaEE Perspectives를 이용해 진행하겠습니다. 상단의 검색창에 java EE를 검색하고 Perspectives탭에 있는 java EE를 클릭하여 view를 변경합니다.

 

프로젝트 화면

Perspectives를 java EE로 변경하게 되면 우측 상단에 아이콘이 변경되고 프로젝트의 폴더 구성 화면이 변경됩니다. 이 상태로 프로젝트의 중요한 폴더들의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1. Java Resources

프로젝트에서 자바 관련 파일들이 위치한 폴더입니다. 자바 클래스들과 자바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파일들이 위치하며,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 폴더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자바 라이브러리와 Maven 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Java Resources 폴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src/main/java 폴더에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자바 파일이 들어가게 됩니다. 해당 폴더에는 Spring MVC Project를 생성할 때 작성했던 패키지명을 바탕으로 패키지가 구성되어있습니다.

src/main/resources 폴더에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리소스 파일이 들어가게 됩니다. 보통 Log4j설정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련 파일이 들어갑니다.

src/test/java 폴더에는 Junit과 같은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작성하는 테스트 코드가 들어가게 됩니다.

src/test/resources 폴더에는 테스트코드에서 사용할 리소스 파일이 들어가게 됩니다.

Libraries 폴더에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자바JRE와 Maven 등을 이용해 다운로드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합니다.

 

 

2. src

src 폴더에는 Java Resources 폴더에 포함된 폴더, 파일들을 포함하고 스프링에서 사용할 빈 설정 xml파일과 화면을 구성하는 jsp 파일들, web.xml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rc 폴더

java폴더와 resources 폴더, test폴더 는 Java Resources폴더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넘어가고, webapp 폴더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webapp/resources 폴더에는 jsp(화면)에서 사용할 리소스 파일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javascript나 css 등 정적자원이 위치합니다.

WEB-INF 폴더에는 웹 애플리케이션 관련 설정과 jsp파일 등이 들어가게 됩니다.해당 폴더에는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버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WEB-INF/classes 폴더에는 자바 소스코드가 컴파일 된 결과물 .class 파일들이 위치하게 됩니다.

WEB-INF/spring 폴더에는 스프링 관련 설정 파일들이 존재합니다.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WEB-INF/views 폴더에는 jsp 파일이 존재합니다.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WEB-INF/web.xml 파일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 함께 올라가야할 설정(설명)들을 정의한 파일으로 서버가 실행될 때 web.xml을 해석하여 설정을 적용합니다.

ssㄴㅁㅇㅁㄴㅇㅁㄴㅇㅁ

ㄴㅇ

3. pom.xml

해당 파일은 Maven 설정파일으로 미리 작성된 xml 파일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설정을 포함합니다.

pom.xml

 

마무리

다음 포스팅에는 스프링 설정을 뜯어보며 기본적인 동작 순서, 원리와 함께 Spring Elements 폴더와 Deployment Descriptor폴더 설정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Bean(빈)  (0) 2024.10.12
스프링 MVC 프로젝트 톺아보기3  (0) 2024.10.11
스프링 MVC 프로젝트 톺아보기2  (0) 2024.10.05
Comments